본문 바로가기
일상/일반상식 및 자료

부동산 주변 시세를 확인하는 방법

by 진02 2025. 4. 26.

부동산 주변 시세를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다음은 몇 가지 주요 정보원과 그 특징입니다.

  •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실제 거래된 가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택 매매 및 전월세 거래량에 대한 자세한 자료도 제공합니다.
  • KB부동산: KB국민은행에서 운영하는 부동산 정보 플랫폼으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부동산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아파트 가격 지수를 통해 시세 변동 추이를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 부동산114: 전국 아파트, 단독주택, 오피스텔 등 다양한 부동산 매물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입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정보를 반영한 실시간 시세 정보 외에도 지역별, 유형별, 기간별로 자세한 통계 자료를 제공합니다.
  • 네이버 부동산: 네이버에서 운영하는 부동산 정보 플랫폼으로, 다양한 부동산 거래 정보와 실거래가를 제공하며, 지도 기반의 서비스로 위치에 따른 시세 변동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및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 등에서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건물의 시세를 확인하는 방법은 주택(아파트, 빌라 등)과 상업용 건물(상가, 빌딩 등)에 따라 접근 방식과 정보 획득처가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1. 주택 (단독/다가구 주택 포함):

  •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가장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해당 건물의 과거 실제 거래 가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확인 방법: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웹사이트 (https://rt.molit.go.kr/) 에 접속하여 건물 소재지, 건축물 종류 등을 선택하여 검색합니다.
  • KB부동산, 부동산114, 네이버 부동산 등: 이들 플랫폼에서도 실거래가 정보를 제공하며, 주변 유사 주택의 시세를 비교하는 데 유용합니다.
    • 확인 방법: 각 웹사이트 또는 앱에서 건물 주소나 지역을 검색하여 시세 정보를 확인합니다.
  •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해당 건물의 공시가격(매년 발표되는 정부 기준 가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세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세금 부과 기준 등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한국부동산원: 주택 가격 동향 및 관련 통계 자료를 제공하여, 넓은 범위에서 시세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확인 방법: 한국부동산원 R-ONE 웹사이트 (https://www.reb.or.kr/r-one) 에서 관련 보고서 및 통계 자료를 확인합니다.

2. 상업용 건물 (상가, 빌딩, 사무실 등):

  •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상업용 건물의 실거래가 정보도 제공합니다. '상업/업무용' 또는 '토지' 등으로 분류하여 검색해 보세요.
  • 서울시 부동산 정보광장: 서울시의 경우, 상업/업무용 부동산의 실거래가 정보를 별도로 제공합니다.
  • 손택스 (국세청):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의 기준시가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상속, 증여, 양도세 등의 세금 산정 시 활용되는 기준입니다.
    • 확인 방법: 국세청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에서 '기준시가 조회' 메뉴를 통해 건물 주소를 입력하여 확인합니다.
  • 부동산 중개 플랫폼 (네이버 부동산, 부동산114 등): 상업용 매물 정보와 함께 제시된 시세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희망 매도 가격일 수 있으므로 실거래가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한국부동산원 상업용 부동산 임대 동향 조사: 상업용 부동산의 임대료 수준 및 공실률 등을 파악하여 간접적으로 시세를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 확인 방법: 한국부동산원 R-ONE 웹사이트에서 관련 보고서를 확인합니다.
  • 감정평가: 정확한 건물 시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감정평가사의 감정을 받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다만, 비용이 발생합니다.

건물 시세 확인 시 고려 사항:

  • 건물의 종류 및 용도: 주거용인지 상업용인지, 단독인지 공동인지 등에 따라 시세 형성 요인이 다릅니다.
  • 건물의 상태 및 연식: 건물의 노후도, 관리 상태, 리모델링 여부 등이 시세에 영향을 미칩니다.
  • 입지 조건: 교통, 학군, 편의시설 등 주변 환경이 시세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면적 및 층수: 건물의 크기 및 위치(층수)에 따라 가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시장 상황: 부동산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과 지역적인 수급 상황에 따라 시세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