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형사소송

내구제 대출

by 진02Jin02 2025. 5. 17.
반응형

내구제 대출은 급하게 돈이 필요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본인 명의로 휴대전화를 개통하거나 특정 상품을 구매하게 한 뒤, 그 물건을 담보로 돈을 빌려주는 불법적인 대출 방식입니다. "나를 스스로 구제하는 대출"이라는 뜻으로 포장되지만, 실제로는 높은 수수료와 불법 행위로 인해 채무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힙니다.

 

 

내구제 대출의 일반적인 수법:

  1. 휴대폰깡:
    • 급전이 필요한 사람에게 본인 명의로 새 휴대전화를 개통하도록 유도합니다.
    • 개통된 휴대전화와 유심칩을 업자에게 넘기는 대가로 소액의 현금을 지급합니다.
    • 업자는 이 휴대전화를 대포폰 등으로 불법적으로 유통시키고, 명의자는 통신 요금 폭탄, 소액 결제 피해, 심지어 범죄 연루의 위험까지 떠안게 됩니다.
  2. 상품깡:
    • 상조 상품, 고가 가전제품 등을 본인 명의로 계약 또는 구매하도록 유도합니다.
    • 계약 또는 구매 후 해당 상품을 업자에게 저렴하게 넘기고 일부 현금을 받습니다.
    • 명의자는 실제로는 필요 없는 상품에 대한 할부금이나 대금을 고스란히 부담하게 됩니다.

 

내구제 대출의 심각한 문제점:

  • 높은 수수료: 실제 융통받는 금액에 비해 엄청나게 높은 수수료를 부담하게 됩니다.
  • 채무 불이행 위험: 약속된 금액을 받지 못하거나, 과도한 채무에 시달리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개인 정보 유출 및 악용: 신분증, 통장 사본 등 개인 정보가 범죄에 악용될 수 있습니다.
  • 불법 행위 연루: 명의를 빌려주거나 대포폰을 제공하는 행위는 전기통신사업법 위반으로 형사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신용 불량: 통신 요금 연체, 할부금 미납 등으로 신용 불량자가 될 수 있습니다.
  • 범죄 악용: 본인 명의로 개통된 휴대전화가 보이스피싱, 불법 도박 등 범죄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기 방조 등의 혐의로 수사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법적 처벌:

  • 내구제 대출 업자: 불법 대부 행위, 사기 등으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 등의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내구제 대출 이용자: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를 타인에게 제공하는 행위는 전기통신사업법 위반으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내구제 대출은 겉으로는 급하게 돈을 마련할 수 있는 쉬운 방법처럼 보이지만, 결국 더 큰 빚과 법적 문제에 직면하게 되는 위험한 불법 행위입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내구제 대출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급하게 자금이 필요하다면, 제도권 금융기관을 통해 상담을 받거나 정부의 서민금융 지원 제도를 알아보는 것이 안전합니다.

 

반응형

내구제 대출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그 과정에서 많은 피해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몇 가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그 위험성을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휴대전화깡 사례:

  • 20대 여성 A씨: 급하게 50만원이 필요했던 A씨는 인터넷 광고를 통해 "본인 명의 휴대폰 개통 후 넘기면 바로 현금 지급"이라는 문구를 보게 되었습니다. 업자를 만나 새 스마트폰 2대를 개통하여 넘겨주고 40만원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몇 달 후, A씨 앞으로 100만원이 넘는 통신 요금과 소액 결제 청구서가 날아왔습니다. 업자는 약속과 달리 요금을 납부하지 않았고, A씨는 신용불량자가 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또한, A씨 명의의 휴대전화가 보이스피싱 범죄에 이용되어 경찰 조사를 받게 될까 봐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 30대 남성 B씨: 생활고에 시달리던 B씨는 SNS에서 "간단한 절차로 당일 30만원 지급"이라는 광고를 보고 연락했습니다. 업자는 B씨에게 유심칩을 포함한 새 휴대전화를 개통하여 자신에게 보내주면 돈을 주겠다고 했습니다. B씨는 의심스러웠지만 급한 마음에 시키는 대로 했습니다. 그러나 업자는 돈을 보내주지 않았고, B씨는 휴대전화 요금만 고스란히 부담하게 되었습니다.

2. 상품깡 사례:

  • 40대 남성 C씨: "급전 필요? 간단한 상품 구매 후 현금 지급!"이라는 광고를 보고 업자에게 연락한 C씨는 상조 상품에 가입하라는 제안을 받았습니다. C씨는 100만원 상당의 상조 상품에 가입하고 업자로부터 70만원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매달 5만원씩 납부해야 하는 상조 회비가 부담스러웠고, 해약하려고 했지만 원금의 상당 부분을 돌려받지 못했습니다.
  • 50대 여성 D씨: 인터넷에서 "신용불량자도 가능! TV 구매 후 즉시 현금 지급"이라는 광고를 본 D씨는 업자를 만났습니다. 업자는 D씨에게 200만원 상당의 고가 TV를 할부로 구매하도록 했습니다. D씨는 TV를 업자에게 넘기고 100만원을 받았지만, 매달 10만원이 넘는 TV 할부금을 3년 동안 갚아야 하는 처지에 놓였습니다.

3. 복합적인 피해 사례:

  • 20대 남성 E씨: 휴대전화깡으로 소액을 마련한 E씨는 업자로부터 "더 큰돈을 빌려주겠다"는 제안을 받았습니다. 업자는 E씨에게 추가로 여러 대의 휴대전화를 개통하게 하고, 명의를 담보로 고금리의 불법 대출을 해주었습니다. 결국 E씨는 통신 요금 폭탄, 불법 대출 이자, 그리고 명의 도용으로 인한 법적 문제까지 겹쳐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내구제 대출은 당장의 급전을 마련해 줄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피해자에게 과도한 채무 부담, 신용 불량, 개인 정보 유출, 심지어 범죄 연루의 위험까지 안겨주는 매우 위험한 불법 행위입니다.

반응형

'일상 > 형사소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박죄  (0) 2025.05.17
작업 대출  (0) 2025.05.17
카드깡  (1) 2025.05.17
아동학대  (0) 2025.05.17
고소  (0) 2025.05.16